주거급여 수급자를 위한 전국민 민생지원금 완벽 가이드. 최대 52만원 지급 대상, 신청 방법, 사용처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7월 신청 시작 예정!
주거급여 수급자, 민생지원금 얼마나 받을까?
2025년 정부가 발표한 민생회복지원금에서 주거급여 수급자들에게 반가운 소식이 있습니다. 소득 계층별로 상위 10%(512만명)는 15만원, 일반 국민(4296만명)은 25만원, 차상위계층(38만명) 40만 원, 기초수급자(271만명)는 50만원을 받는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 대부분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므로, 최대 52만원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인구감소지역 거주자는 추가로 2만원을 더 받을 수 있어 총 54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주거급여 선정 기준 변화
올해 주거급여 선정 기준이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4인 가구 기준으로 급여별 선정기준은 생계급여 195만 1,287원, 의료급여 243만 9,109원, 주거급여 292만 6,931원, 교육급여 304만 8,887원 이하로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기준 중위소득을 6.42%로 역대 최대 인상한 결과로, 더 많은 가구가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5년 주거급여 지원 확대 내용
임차가구 지원 확대
- 임차가구의 기준임대료를 올해 대비 급지·가구원수별 1.1 ~ 2.4만 원 인상
- 1인 가구 기준 월 22만 8천원까지 지원 가능
자가가구 지원 확대
- 자가가구의 주택 수선비용을 올해 대비 133~360만 원 인상
-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비 최대 380만원 지원
민생지원금 신청 방법과 시기
신청 시기
신청은 7월 중순 예상되며, 2025년 8~9월부터 전국민에게 25만 원씩 지급 예정입니다.
신청 방법
자동지급이 원칙이지만, 필요 시 온라인·오프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 이미 정부에 소득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지급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급 방식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민생지원금 사용처와 제한사항
사용 가능한 곳
- 동네 가게, 전통시장
- 소상공인 매장
- 지역 상권
사용 제한 장소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은 사용 제한됩니다. 이는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조치입니다.
주거급여와 민생지원금 중복 수급 가능한가?
네, 가능합니다! 주거급여와 민생지원금은 별개의 제도로, 중복 수급에 문제가 없습니다. 주거급여 수급자라도 민생지원금을 별도로 받을 수 있어 생활비 부담을 더욱 덜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알아두면 유용한 추가 정보
주거급여 신청 방법
- 신청 장소: 주민등록주소지 동주민센터
- 온라인: 복지로(bokjiro.go.kr)
- 문의: 주거급여 콜센터 1600-0777
필요 서류
-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
- 신분증
- 소득·재산 신고서
- 금융정보 제공동의서
- 임대차 계약서
자주 묻는 질문 (Q&A)
Q1. 주거급여 수급자도 민생지원금을 받을 수 있나요?
A1. 네, 가능합니다. 주거급여 수급자는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므로 최대 52만원(인구감소지역 거주 시 54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언제부터 신청할 수 있나요?
A2. 2025년 7월 중순부터 신청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대부분 자동지급되지만 필요시 온라인·오프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Q3. 주거급여와 민생지원금을 동시에 받아도 되나요?
A3. 네, 별개의 제도이므로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주거급여는 매월 지급되고, 민생지원금은 일시 지급됩니다.
Q4. 민생지원금은 어디서 사용할 수 있나요?
A4. 동네 가게, 전통시장,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쇼핑몰에서는 사용이 제한됩니다.
Q5. 주거급여 선정 기준이 변했나요?
A5. 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어 4인 가구 기준 292만 6,931원 이하로 확대되었습니다.
Q6. 임차가구 지원 금액이 늘었나요?
A6. 네, 기준임대료가 1.1~2.4만원 인상되어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Q7. 자가가구도 지원이 늘었나요?
A7. 네, 주택 수선비용이 133~360만원 인상되었고,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비도 최대 380만원까지 지원됩니다.
Q8. 신청하지 않으면 받을 수 없나요?
A8. 자동지급이 원칙이므로 대부분 별도 신청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필요시 온라인·오프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Q9. 지급 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A9.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Q10. 인구감소지역에서는 더 많이 받나요?
A10. 네, 89개 인구감소지역 거주자는 1인당 2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